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, 신청 조건, 지급일 총정리




근로장려금 신청, 왜 이렇게 관심이 많을까?


많은 분들이 가계 부담을 줄이고 생활에 보탬이 되는 제도를 찾다 보면 꼭 등장하는 것이 바로 근로장려금입니다. 실제로 매년 많은 근로자와 사업자 가구가 이 제도를 통해 큰 도움이 되고 있죠. 특히 2025년에는 소득 기준 완화 등 여러 변화가 있어 더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.



근로장려금 신청 대상 요건


근로장려금을 받기 위해서는 소득 요건과 재산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
1. 소득 요건

- 단독 가구: 연간 총소득 2,200만 원 미만
- 홑벌이 가구: 연간 총소득 3,200만 원 미만
- 맞벌이 가구: 연간 총소득 4,400만 원 미만 (2025년부터 완화)


2. 재산 요건

- 2024년 6월 1일 기준 가구원 전체 재산이 2억 4천만 원 미만
- 재산이 1억 7천만 원 이상 2억 4천만 원 미만일 경우, 장려금의 50%만 지급


3. 기타 요건

- 대한민국 국적 보유 (배우자 또는 부양자녀가 한국 국적일 경우 예외 적용)
- 다른 거주자의 부양자녀가 아닐 것
- 전문직 사업자는 제외
- 월 평균 근로소득 500만 원 이상 근로자는 제외
- 근로, 사업, 종교인 소득이 반드시 있어야 함


근로장려금 신청 기간 및 방법



1. 정기 신청: 2025년 5월 1일 ~ 6월 2일


2. 기한 후 신청: 2025년 6월 3일 ~ 12월 1일 (5% 감액 가능)


3. 반기 신청 (근로소득자만)
- 상반기분: 2024년 9월 신청, 12월 지급
- 하반기분: 2025년 3월 신청, 6월 지급


4. 신청 방법

- 안내문을 받은 경우: 모바일 안내문(국민비서, 카카오톡, 네이버 등) → ‘신청하기’ 클릭
- 우편 안내문 QR코드 활용
- ARS 전화(1544-9944) 신청
- 안내문을 못 받은 경우: 홈택스(PC/손택스 앱) 또는 서면 신청
- 자동 신청 제도: 신청 기간 중 동의 시 2년간 자동 신청 (2025년부터 모든 연령 대상)


근로장려금 지급액 및 지급일


1. 최대 지급액

- 단독 가구: 최대 165만 원
- 홑벌이 가구: 최대 285만 원
- 맞벌이 가구: 최대 330만 원
- 자녀장려금: 자녀 1인당 최대 100만 원


2. 지급일

- 정기 신청: 2025년 9월 말까지 (조기 심사 시 8월 말부터)
- 반기 신청(하반기분): 2025년 6월 말까지
- 기한 후 신청: 신청일로부터 약 4개월 이내


근로장려금 신청 시 유의사항


- 반드시 신청 기간 내에 접수해야 하며, 기한 후 신청은 감액 위험이 있습니다.
- 국세청 사칭 보이스피싱·스미싱을 주의하세요. 국세청은 절대 금품이나 금융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.
- 본인 명의 계좌를 준비해야 하며, 매년 새로 신청해야 합니다.
- 종합소득세 신고 누락 시 근로장려금 신청이 불가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


근로장려금은 근로 의욕을 높이고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제도입니다. 특히 2025년에는 소득 기준이 완화되어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열렸습니다. 꼼꼼히 요건과 신청 기간을 확인하여 빠짐없이 신청하시길 바랍니다.


다음 이전